극악무도하고 죽탕쳐 죽일 미국 제국주의 놈들로부터 우리 민족의 영원한 번영을 다크걸 수호하기 위하여 우리 위대하신 최고 령도자를 감개무량한 마음으로 도와야 한다!
파워 인플레: 작품의 잘못된 설계나 진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이라는 점에서 설정 오류의 일종이다.
형식적 오류는 국어, 수학 등의 교과목과 상관관계가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르치는 것과는 대조된다. 이로 인해 비형식적 오류는 교과 과정 말고 학부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학술적 작문 교육을 받으면서야 처음으로 학생들에게 인지되는 경우가 많다.
초전자 바이오맨: 종반부에 바이오 헌터 실바가 프린스를 새로 만들어서 함께 신제국 기어로 침입하는 내용이 있는데, 프린스는 닥터맨이 만들었으나 실바가 지구에 도착하기에 앞서 죽었고, 그러면서 정작 실바가 프린스를 어떻게 알게됐는지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없이 넘어가버렸다. 가령 실바가 기어나 바이오맨 등 프린스의 존재를 아는 이들이 프린스에 대해 얘기하는 걸 우연히 엿듣고 알게 된 거라는 뒷설정이 뒤늦게나마 생기면 이걸로 존재 자체엔 대해서 어찌 알게됐는지엔 대해서 어느정도 메꿔지긴 하는데, 문제는 프린스의 모습까지 알고 있는 것에 대해선 존재 자체를 안 건 둘째치더라도 모습은 어찌 알았는지엔 대해서 해답이 안 나오니 그야말로 작중 최고의 설정 오류인 셈이다.
이 나무위키에서도 자주 보이는 표현이지만 얕은 지식과 작품의 몰이해로 별다른 설득력 없는 설명만으로 툭하고 설정 오류라고 작성하고 가버리고 가는 일도 많다.
예문) 바바리맨이 학교 앞에서 범죄를 저질렀다. 따라서 바바리코트 입은 사람 모두를 잡아들여야 된다.
설정 오류가 아니지만 설정 오류로 오해되는 일도 상당히 많다. 작가가 이미 알고 있어서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넘어간 부분이 독자에게는 그렇지 않을 때 자주 일어난다. 설정이 변경되지는 않았으나 설정상은 실제로 어떠한 변경이 이루어졌는데 묘사가 부족하거나 독자가 제대로 못 인식해서 기존 설정이 무시된 것으로 오해되기도 하고, 선술했듯이 새로 추가된 설정을 맛보기 삼아 보여주는 떡밥이나 복선이 설정 오류로 오인되기도 한다.
영어 번역이 일본어랑 같을 땐 설명 생략. 엔딩은 모두 스팀 도전과제로 올라와 있다.
이렇게 설정오류가 심하다보니 원작을 다룬 위키에서도 애니를 소개하면서 애니는 원작과 다른 외전인 작품이니 애니를 원작이라고 착각하지 말라는 공지까지 떴다.
쉽게 말해, 여기의 '언급'은 그 단어를 언급하는 것이고, '사용'은 그 단어로써 무엇을 언급하는 것이다. 만일, 언급된 단어에 홑따옴표를 치지 않아, 홑따옴표를 쳐야 하는 단어(언급된 단어)와 치지 말아야 하는 단어(사용된 단어)를 같은 단어로 간주하고 논증할 때 '사용/언급 혼동의 오류'를 저지르고 만다. 이를 활용한 콩트가 이고, 실제로 이를 예시로서 드는 논문도 있다.
횟수를 카운트하기 힘들 수 있지만, 특정 횟수에서 포케터에 지금까지 횟수를 이야기해 주니 이를 참고할 것.
예문) 연쇄살인범, 인성이 똑바로 박히지 않은 사람들 중 동물학대를 저지른 비율이 높았으므로, 동물학대가 사람의 성정을 난폭하게 만든다.
레이맨 오리진: 리부트 과정에서 기존 레이맨 시리즈의 설정과 새로 바뀐 설정이 복합되면서 팬들의 질타를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고.
다른 표현으로 '설정충돌', '설정구멍'과 '설정붕괴'라고 하며, 이 중 설정구멍을 줄여서 그냥 '구멍'으로 부르기도 한다.